Q&A

home    〉   Q&A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노동 탄압’ 구설 속…쿠팡, 첫 ‘연간 흑자’

행복한 0 30 03.02 00:12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활성고객 2100만명 업고 6분기 연속 흑자…‘만년 적자’ 오명 벗어노동자 취업방해 의혹·납품사 갈등·6조원 누적 적자 등 과제 산적
쿠팡이 지난해 6000억원대 영업이익을 거두면서 2010년 창사 이래 처음으로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 만년 적자에도 지속해온 공격적 투자가 결실을 맺은 것이다. 그러나 누적 적자 규모(약 6조원)가 워낙 큰 데다 취업방해 관련 노동 이슈 등 풀어야 할 숙제가 산더미다.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된 쿠팡은 지난해 매출이 31조8298억원(243억8300만달러·연평균 환율 1305.41원)으로 전년보다 20% 증가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연간 영업이익은 6174억원(4억7300만달러)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그간 쿠팡의 연간 영업적자 규모는 2021년 1조7097억원에서 2022년 1447억원으로 92%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줄었다. 2022년 3분기 첫 분기 영업흑자(1037억원)를 기록한 이후 6개 분기 연속 흑자를 유지하면서 첫 연간 흑자를 이뤄냈다.
2010년 소셜커머스 업체로 출발한 쿠팡은 2014년 주문 다음날 물건을 받아볼 수 있는 ‘로켓배송’을 시작하며 덩치를 키웠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의 막대한 자금 지원을 등에 업었지만 눈덩이처럼 불어난 적자 탓에 곧 망한다는 부정적 시각이 상당했다.
이후 코로나19로 온라인 쇼핑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쿠팡 역시 수혜를 입었고, 2021년 뉴욕증시에도 입성했다.
첫 흑자 전환의 배경에는 직매입을 기반으로 한 대표적 서비스인 로켓배송이 있다. 현재는 익일배송뿐만 아니라 새벽배송, 당일배송도 한다. 빠른 배송의 편리함을 맛본 고객들이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게 만드는 ‘록인 효과’가 크다.
월 4990원짜리 유료 멤버십인 와우 회원에겐 무료 배송·반품뿐 아니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쿠팡플레이 이용과 음식배달 플랫폼 쿠팡이츠 할인 등 부가서비스도 제공하며 영향력을 키웠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분기에 제품을 한 번이라도 산 고객을 뜻하는 활성고객 수는 2100만명, 와우 멤버십 회원은 1400만명에 달한다.
하지만 쿠팡의 성장 이면에는 노동 문제나 납품업체와의 갈등 같은 그늘도 존재한다. 최근 물류센터 노동자를 대상으로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취업방해와 같은 불이익을 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앞서 쿠팡은 노동계로부터 노동자의 과로사 책임을 회피한다는 비판도 받았다.
물품 제조사와 납품가격 협상 과정에서 벌어진 갈등이 거래 중단으로 번지기도 했다. 즉석밥 시장 1위 ‘햇반’을 비롯한 CJ제일제당 제품을 로켓배송으로 팔지 않는 게 대표적이다.
6조원에 달하는 누적 적자를 해소하려면 보다 뚜렷한 수익창출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쿠팡이 쿠팡이츠, 쿠팡플레이와 2022년 진출한 대만 사업에 힘을 주고, 세계 최대 명품의류 플랫폼 ‘파페치’를 인수한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국내 유통시장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고 있는 점도 위협 요소다. 신세계, 롯데 등 기존 유통 강자들도 온·오프라인 사업을 재정비하면서 반등을 노리고 있다. 여기에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쉬인 등 중국 직구 플랫폼들이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국내 소비자들을 끌어모으는 중이다. 특히 국내 물류센터 설치를 추진하는 알리익스프레스는 한국 공산품·가공식품에 이어 신선식품까지 취급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쿠팡의 영역을 넘보고 있다.
금융당국이 지난 26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발표한 ‘코리아 밸류업 지수’와 상장지수펀드(ETF)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는 지난해 7월 시작한 일본의 ‘JPX Prime 150’(프라임 150) 지수와 1월 출시된 관련 ETF를 벤치마킹한 것이다. 그러나 일본과 달리 밸류업 정책이 강제성이 없는 ‘맹탕’에 그치면서 증권가에선 향후 전망에 물음표를 찍고 있다.
전문가들은 28일 밸류업 지수와 ETF 출시가 증시를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끌어올리기 위해선 기업의 펀더멘털(기초체력)과 지배구조 개선은 물론 정부 정책이 지속성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당국은 밸류업 지수를 오는 3분기까지 개발하고 4분기에 이를 추종하는 ETF를 출시할 예정이다.
일본은 도쿄증권거래소 프라임(최상위) 시장 상장사 중 약 50%가 순자산비율(PBR)이 1배 미만인 것으로 나타나자 지난해 3월 프라임 150 지수 신설 방안을 내놨다. 지난 1월에는 이 지수를 추종하는 ‘iFree JPX Prime 150 ETF’도 출시했다. PBR은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비율이다. PBR이 1배보다 낮으면 주식이 장부 가치에도 미치지 못하는 가격에 거래될 정도로 저평가됐다는 뜻이다.
프라임 150 지수에는 PBR이 1배가 넘고 자본수익률(ROE에서 자본비용을 뺀 값)이 높은 상장사만 포함됐다. 이 지수에 포함되도록 기업가치 개선을 유도하고 중장기 투자를 유치한다는 취지에서다.
중요한 점은 일본은 밸류 개선 성과가 부진한 종목을 상장폐지까지 가능하도록 했다는 것이다. ‘채찍’을 꺼낸 일본과 달리 한국 금융당국은 세제 혜택의 ‘당근’만 내세운 상태다. 금융당국이 기대한 밸류업 지수와 ETF의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오히려 밸류업 지수에서 제외된 종목의 수익률이 높아 성과가 부진할 것이란 의견도 있다. 최병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지수에 포함되지 않은 미쓰비시 등 종목이 급상승해 프라임 150 지수가 닛케이지수 대비 낮은 수익률을 기록했다며 프라임 150 미포함 종목이 오히려 기업가치를 제고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결국 밸류업 지수와 ETF가 기대 효과를 거두기 위해선 세제혜택의 인센티브 외에도 강제성을 부여할 장치를 통해 기업의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실제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8일 상장 기업도 일정 기준에 미달할 경우 거래소 퇴출이 적극적으로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며 페널티를 시사하기도 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