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home    〉   Q&A

미, 북·일 정상회담 추진설에 “북한과의 관여 지지”

행복한 0 17 02.21 16:36
미국 정부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간 정상회담이 추진될 가능성에 대해 대북 관여 노력을 지지한다는 인스타 팔로워 구매 입장을 밝혔다.
미라 랩후퍼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동아시아·오세아니아 담당 선임보좌관은 15일(현지시간) 싱크탱크 미 평화연구소(USIP) 주최로 열린 포럼에서 최근 제기되는 북·일 정상회담 움직임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언론에 보도된 정상회담 소식을 특별히 들여다보고 있지는 않다면서도 북한과의 관여는 미국, 그리고 미국의 파트너들이 원하는 것이며, 해야 할 이유가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대북 관여 노력을) 지지하고 협력하며 함께 협의할 것이라고 답했다.
대북 업무를 총괄하는 정 박 미 국무부 대북고위관리도 이날 워싱턴에서 기자들과 만나 일반적으로 우리는 (북한과) 어떤 종류의 외교와 대화도 지지한다며 납치 문제 해결을 위한 일본 정부 노력을 강력히 지지한다고 말했다고 교도통신 등이 보도했다. 박 고위관리는 그러면서도 무언가가 일어나고 있을지 모른다고 하기에는 너무 이르다며 북한 지도자가 지금은 대화와 외교를 할 때가 아니라고 결심한 것으로 보이며, 러시아와만 (대화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미 정부가 북한과의 대화에 대한 원칙적인 지지 입장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북·일 대화 동향이 최근 한껏 고조된 한반도 긴장을 완화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한반도 정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한·미·일 차원의 대북 공조를 강조해온 미국으로서 적극적인 환영보다는 신중한 지지를 보이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북한의 최근 대일 접근에 3자 협력의 틈을 벌리려는 계산이 작용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한 미국 관리는 북·일 정상회담이 추진될 경우 일본이 한국 측과도 사전 공유나 협의를 통해 매끄럽게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이는 일본이 북한과의 접촉 상황을 미국은 물론 한국에도 공유함으로써 북한 문제에 대한 한·미·일 협력에 잡음이 생기지 않도록 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그러나 남북 관계가 완전히 단절된 상태에서 북·일 간 대화가 급물살을 타면 ‘한국 패싱’ 우려가 현실화할 수도 있다.
한편 미 인스타 팔로워 구매 고위 당국자들은 북·러 군사협력 심화에 대해서 재차 우려를 표명했다. 랩후퍼 보좌관은 북·러 관계 심화를 두고 매우 우려스럽다면서 러시아가 북한으로부터 (무기를) 제공받은 대가로 북한에 줄 수 있는 것이 많다. 수년에 걸쳐 양측이 주고받을 지원의 변화 유형이 걱정스러울 정도로 관계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카밀 도슨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부차관보도 북·러 관계와 관련 국제사회 모두가 주의깊게 지켜보고 우려해야 하는 문제라며 미국은 가능한 모든 채널을 동원해 국제사회가 북·러에 단합된 목소리를 낼 것을 촉구해왔다고 말했다.
한편으로 북·러 협력 심화가 한·미·일은 물론 유럽 국가들과의 대북 공조에도 촉매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랩후퍼 보좌관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유럽연합(EU)의 파트너들도 북·러 협력이 매우 위험하고 예측불가능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고, 유럽의 파트너들과 의미있는 관여가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