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home    〉   Q&A

무역협회장, 바이든 정부 대중 ‘관세폭탄’에 “한국 기업에 그렇게 불리하지 않아”

행복한 0 2 05.17 03:09
미국을 방문 중인 윤진식 한국무역협회(KITA) 회장은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중국산 반도체·전기차·태양전지 등에 대한 관세를 2~4배 인상하기로 한 조치에 대해 한국 기업에 그렇게 불리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윤 회장은 14일(현지시간) 워싱턴 무역협회 사무실에서 진행된 특파원 간담회에서 미국의 대중 고율 관세 조치에 대해 단정적으로 말하긴 어렵고, 상황이 어떻게 진전될지 두고 봐야 한다면서도 내부적으로 여러 의견을 물어봤는데 한국 기업에 그렇게 불리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인스타 팔로워 구매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별도 일정으로 방미한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과 미국에 진출한 한국 중소기업 대표들도 함께 했다.
류 회장과 동행한 정철 한국경제연구원장은 대중 관세 조치를 두고 기본적으로 중국을 타깃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부에서는 어부지리의 기회도 있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정 원장은 그러면서 11월 대선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이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중 누가 당선되든 미국 통상정책 방향은 비슷하게 갈 것이라며 보호무역주의와 자국우선주의에 편승해서 정치적 이유와 결합한 정책이 많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전망했다.
기업인들은 미·중 무역갈등과 기술전쟁에 따른 여파에 대한 우려도 드러냈다.
반도체 장비업체인 엑시콘 최명배 회장은 미국의 알루미늄 관세인상이 중국을 타깃으로 하지만 한국이 거기에 파편을 맞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역시 반도체 장비기업인 주성엔지니어링 황철주 회장은 한국에 대한 미국의 대중 반도체 장비 수출통제 동참 압박과 관련 대한민국 소부장(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는 20%도 안 된다. 한국 소부장은 미국 반도체 경쟁력을 저하하거나 중국 반도체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는 대한민국의 소부장 역할이 어떤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은데 많이 잘못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취임 후 처음 방미한 윤 회장은 전날 돈 그레이브스 상무부 부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한국산 제품에 대한 반덤핑·상계관세 제소 등의 무분별한 남발 가능성에 우려를 표명하고, 한국 철강에 적용되는 70% 수입물량제한(쿼터)을 신축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