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home    〉   Q&A

한화에어로, 1만번째 항공엔진 출하…“2030년까지 독자 엔진 기술 확보”

행복한 0 26 04.18 22:27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5일 창원1사업장에서 항공엔진 1만대 출하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1만번째 엔진의 주인공은 공군 TA50 훈련기에 탑재될 예정인 F404 엔진이다.
출하식 후에는 KF21에 장착할 F414엔진을 생산하기 위한 스마트 엔진 공장 착공식도 진행했다. 2025년까지 약 400억원을 투자해 5000평 규모로 조성되는 이 공장은 정보기술(IT) 기반의 품질관리와 물류시스템을 갖춘 스마트 공장으로 지어진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979년 공군 F4 전투기용 J79엔진 창정비 생산을 시작으로 45년간 항공기와 헬기, 선박 등에 탑재되는 엔진 등 모두 1만대를 생산했다.
이 과정에서 엔진 설계 및 해석, 소재 및 제조, 시험 및 인증 등 항공엔진 전반에 걸친 기반 기술과 시스템을 확보했다. 이를 통해 유도미사일엔진, 보조동력장치(APU) 등 1800대 이상의 엔진을 독자기술로 개발·생산할 수 있었다.
또 45년 동안 총 5700대의 엔진을 유지·보수·정비(MRO)하는 등 국내에서 유일하게 엔진 설계부터 소재 및 제조, 사후 관리까지의 통합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엔진 1만대 생산 및 공장 증설을 시작으로 2030년 중후반까지 정부와 함께 KF21 엔진과 동급 수준인 1만5000파운드급 엔진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기존에는 해외 업체의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국산화 기술협력생산에 나섰다면, 향후 전투기급의 독자 엔진 기술을 확보해 글로벌 항공엔진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겠다고 밝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국내 업체들과 함께 첨단 독자 엔진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무인기, 민항기 엔진 등을 추가로 개발한다는 중장기 전략도 이날 공개했다. 6세대 전투기 엔진의 핵심 기술인 ‘엔진 일체형 전기 시동 발전기(E2SG)’, 세라믹 복합소재 개발 등 선행 기술도 확보해 미래 전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손재일 한화에어로페이스 대표는 육해공군, 정부 및 참여업체 모두의 힘을 모아 해외에 의존했던 항공 엔진의 기술 자립도를 높이고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방위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총선 후에도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는 정권 비판 보도들을 제재하는 데 여념이 없다. 방심위 선거방송심의위원회(선방위)는 18일 MBC 뉴스데스크 등의 여러 보도들을 심의했다. 이 중 선거 관련 보도는 드물고, ‘3·1절 대통령 장모 가석방 추진 논란’ ‘윤석열 대통령의 이태원참사특별법 거부권 행사’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같이 대부분 선거와 무관한 보도들이다. 앞서 방심위는 MBC의 ‘바이든-날리면’ 보도에 과징금 3000만원을 부과했고, YTN의 ‘김건희 모녀 주가조작 23억원 수익’ 보도에 법정제재를 결정했다. 3월 한 달 심의 대상이 된 민원의 70% 이상을 국민의힘이 제기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기계적 균형조차 잃고 인스타 한국인 팔로워 폭주하는 방송심의 제도의 민낯이 연일 드러나고 있다.
현 방송심의 제도는 정권이 마음만 먹으면 보도 검열 기능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MBC가 조국혁신당 ‘기호 9번’이 연상돼 복면가왕 9주년 방송을 연기한 데서 보듯 언론의 자기 검열 기제로 작동하기도 한다. 이 제도를 유지하면서 언론 자유를 논하는 것은 무망한 일이다. 정권에 불편한 보도나 논쟁적 사안을 성역 없이 보도하면 제재받을 가능성이 높고, 그것은 방송사 재허가나 재승인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문제 핵심은 방심위가 법상 민간독립기구로 돼 있지만 사실상 국가행정기구 기능을 하는 이중성에 있다. 행정기구 역할을 하면서도 민간기구라는 방패 뒤에 숨어 책임은 모면할 수 있는 구조 아래서 생존해왔다. 방심위는 2008년 방송·통신 융합에 맞춰 행정기구인 방송통신위원회를 설립할 때 정부가 방송 내용을 심의하면 국가 검열로 볼 소지가 커 심의기구를 별도의 민간독립기구로 만들자는 취지로 설립됐다. 하지만 대통령이 3인, 여야 정당이 각 3인씩 위원을 추천함에 따라 여야 6 대 3 구도가 되며 독립 취지가 퇴색했다.
이런 문제의식이 특정 정당이 야당이 됐을 때만 생겨나는 것도 문제이다. 현 정부 들어 그 폐해·논란이 일상화되고 극심해졌으나, 방송심의 제도가 정파적 진영론에 좌우된 것은 역대 정권에서도 있었다. 22대 국회에서는 그간 확인된 방송심의 제도의 대개혁을 해야 한다. 대통령과 국회의장, 대법원장이 각 3인씩 추천하는 방식 등 정치권 추천 몫을 줄이는 방안을 고려해볼 만하다. 혹은 방심위를 언론계 통합 자율규제기구로 개편하고 심의 권한을 대폭 줄이는 방안도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