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home    〉   Q&A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주말N] 완주에 주목하는 청년들···공동체조직 탄탄·월 5만원 주거 해결

행복한 0 7 04.30 14:20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답답한 도시보다 사람 냄새나는 시골살이를 하고 싶어 7년 전 서울에서 완주로 옮겨 왔어요. 잘 왔다 싶습니다.
전북 완주군 고산면에서 6년째 책방 운영을 하고 있는 홍미진씨(37)는 청년 자립 모델을 보여주고 싶다고 말했다. 서울에서 출판사를 다녔던 홍씨는 처음부터 거창한 계획을 세우고 고산면에 둥지를 튼 건 아니다. 대안적 문화·사회를 표방하는 곳에서 생활하면서 청년들과 함께 지역 불균형을 해소해보자는 막연한 의지를 갖고 있었다고 한다.
책을 좋아하고 과거 책 만드는 일을 해 이곳에서도 책방을 운영하게 됐다. 또한 그는 완주로 갓 이주한 다른 청년들의 조력자 역할도 하고 있다. 그는 일도 중요하지만 여럿이 어울려 커뮤니티를 형성하며 의지하고 공감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전북 전주시에서 차로 30여분 걸리는 완주군은 협동조합과 마을기업, 사회적기업이 300여개에 달하는 등 사회적 경제 조직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이 중 고산면은 공동육아나 대안교육 등 공동체 활동이 활성화돼 있어 대안적인 삶에 관심 있는 청년들의 유입이 많다.
여기에 완주군이 2016년부터 추진하는 여러 청년정책들이 주목받으면서 청년들의 활동도 활발해지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청년 거점 공간인 ‘청촌방앗간’이다.
청촌방앗간은 청년들로 꾸려진 ‘와니니 협동조합’이 2022년 완주군으로부터 민간 위탁을 받아 운영 중이다. 지역의 모든 이야기가 이곳에 모인다.
청년들은 식사를 함께 하며 완주살이에 이야기를 나누고, 라탄공예·자전거 수리·기타수업 등 여러 활동을 함께 하며 정을 쌓는다. 이승희 매니저는 여기에 오는 청년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일자리나 주거지 등을 서로 소개해주기도 한다고 말했다.
청년 거주정책 중의 하나인 셰어하우스도 정착에 한몫하고 있다. 완주군은 청년층 유입을 위해 최대 14박까지 숙박비 80%를 지원하는 단기 주거 시설부터 최대 3년 동안 월 임차료 5만원에 이용이 가능한 셰어하우스, 정착을 위한 임대주택인 행복주택 등을 갖추고 있다.
부산에서 이사 와 셰어하우스에 사는 안현준씨(34)는 보증금이 전혀 없고 월세 5만원에 공과금, 관리비 다 포함해도 한 달에 10여만원이면 주거비를 해결할 수 있어 큰 도움을 받았다고 말했다.
완주군은 그밖에 취업, 창업, 복지 등 청년 맞춤 사업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이는 청년층의 지속적인 유입으로 이어지고 있다. 청년층 순전입 인구는 2022년 727명에 이어 2023년 1868명을 기록했다.
완주군은 2022년부터 전북 14개 시·군 가운데 유일하게 인구가 늘고 있다. 다만 이같은 인구 증가 배경에는 대기업 생산공장이 있는 산업단지 성장과 대규모 아파트 단지 신규 입주 등의 영향이 크다.
이근석 완주사회적경제네트워크 이사장은 지역에 정착하러 온 청년들 상당수는 단순히 돈을 버는 것보다 실험적인 일에 도전하러 온 만큼 청년들이 맘 놓고 도전할 수 있도록 행정적으로 뒷받침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내년도 국립대의 의과대학(의대) 정원 증가폭이 당초 늘어난 증원분보다 50% 정도 감축되는 분위기다. 9개 국립대의 증원분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면 내년도 의대 정원 증가폭은 당초의 2000명보다 400명가량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줄어든 1600명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28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전국 32개 의대 중 11개 대학이 2025학년도 모집인원을 결정했다.
국립대 의대 가운데 3곳은 당초 결정됐던 증원분의 절반 정도로 증원 규모를 줄이기로 했다. 경북대는 앞서 90명이 증원됐으나 45명으로 조정해 총 155명을 모집한다. 경상국립대는 124명에서 62명으로 증원분을 줄여 총 138명을 선발한다. 제주대는 증원분 60명의 절반인 30명만 늘려 총 70명을 모집한다.
앞서 의대 정원이 늘어나는 강원대·경북대·경상국립대·충남대·충북대·제주대 등 6개 국립대 총장은 내년도 증원분을 50~100% 범위에서 대학이 자율로 정할 수 있게 해달라는 내용의 건의문을 정부에 제출했다. 이후 한덕수 국무총리는 증원 조정을 직접 건의한 6개 국립대뿐 아니라 정원이 늘어난 32개 의대 전체에 내년도 정원을 자율적으로 조정하도록 했다.
건의에 동참했던 대학 중 충남대·충북대·강원대 등은 증원 규모를 논의 중이다. 모집 정원이 기존 49명에서 200명으로 4배 이상 늘어 증원 규모가 가장 큰 충북대는 오는 29일 충북도 관계자, 민간단체, 교수들과 모여 증원 규모에 관한 회의를 연다.
사립대 의대는 앞서 정해진 증원 규모를 유지하는 분위기다. 계명대, 고신대, 대구가톨릭대, 동아대, 연세대 원주캠퍼스, 영남대, 인제대, 조선대 등 8곳은 증원된 인원을 100% 모집할 예정이다.
앞서 정부가 발표한 9개 국립대 의대의 증원분은 총 806명이다. 국립대들이 모두 50% 수준에서 정원을 줄인다면 의대 정원은 403명 줄어든 1597명이 된다. 현재까지 증원 규모를 정하지 않은 대학들의 조정 정도에 따라 내년도 전체 의대 정원은 1600명 안팎에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대학들은 오는 30일까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증원 규모를 수정한 내년도 대입전형시행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오는 29일부터 일부 대학 의대들은 추가로 수업을 정상화할 예정이다. 가톨릭관동대, 건국대 충주캠퍼스, 성균관대 등 8개교가 29일 의대 수업을 시작한다. 중앙대도 다음달 1일부터 수업을 진행한다.
일각에서는 집단 유급을 막기 위해 의대생들의 휴학을 승인해줘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학생들의 수업 거부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수업이 진행되면 ‘집단 유급’ 우려가 더 커지기 때문이다. 이은직 연세대 의대 학장은 지난 19일 학과 홈페이지에 올린 ‘연세의학교육의 정상화를 바라며’ 서신에서 국민의 건강과 사회에 봉사하는 의사를 양성해야 하는 책무를 수행하기 위해 휴학 승인을 포함한 모든 방법을 강구할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다음달 10일까지 의대 수업 거부 강요 행위에 대해 집중 신고 기간을 운영한다. 지난 18일에는 부당한 수업 거부 강요 사례에 대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기도 했다.
나경원 국민의힘 서울 동작을 당선인은 25일 지난 1년을 통해서 스스로 많이 변했다고 생각한다면서 연판장에 서명 안 한 사람하고만 놀려면 같이 할 사람이 별로 없다고 말했다. 나 당선인은 지난해 대통령실과의 공개 마찰, 당내 초선 의원들의 연판장으로 인해 당대표 출마가 불발돼 ‘비윤(석열)’계로 분류됐으나 전당대회를 앞두고 비윤 색채를 지우려는 모양새다.
나 당선인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지난 전당대회 때 하차를 당하면서 대통령과의 관계가 껄끄러워지지 않았나’라는 진행자의 질문에 대통령과 회복이다 아니다 그런 말씀을 드리는 것은 맞지 않다라며 지난 1년은 지역에 콕 박혀 있었다. 그 1년을 통해서 저 스스로도 많이 변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 1년간 대통령과의 갈등 요인이 해소됐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나 당선인은 지난해 친윤계 초선 의원들이 당대표 출마 반대 연판장을 돌린 것과관련해 자당 내에서 공격을 받으니까 참 안타까운 일이었다라면서도 지금이야 정치를 다시 하니까 또 잊어버리고, 또 그렇게 하면 누구랑 정치를 같이 하겠나라고 말했다. 그는 연판장에 서명 안 한 사람하고만 놀려면 같이 할 사람이 별로 없다고 강조했다. 자신의 비윤 색채를 지우고 친윤계와 손을 잡겠다는 것이다.
나 당선인은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출마와 관련해 당대표라는 자리는 제가 아직 고민할 시기도 아니고 제가 당대표가 제 정치의 목표라는 생각을 크게 해보지는 않았다라면서도 의회에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게 있으면 참 좋겠다라며 출마를 부인하지는 않았다. 그는 (대통령과) 당선 이후에 소통을 한 적은 있다고 말했다.
나 당선인은 지난해 전당대회를 앞두고 개정된 ‘당심 100%’ 규정에 대해 작년에 제가 전당대회 출마는 안 했지만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심 100%로 바꿀 때 많은 분들이 유승민 의원을 배제하기 위한 거라고 했는데 이건 나경원을 배제하기 위한 거라고 저는 처음부터 생각을 했다며 당의 많은 의견들을 수렴해 가는 과정이 필요하다며 개정 필요성을 시사했다.
나 당선인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오찬 제안을 거절한 것에 대해 여당이니까 우리가 다 같이 힘을 합쳐 가는 모양이 좋지 않을까라며 웬만하면 대통령 스케줄이 저희가 맞춰드리는 것이 보통 예의라며 에둘러 비판했다.

Comments